빛과 구조의 시(詩), 장 누벨의 건축 철학
- OV Travelers
- 4월 14일
- 3분 분량

루브르 아부다비는 단순한 박물관이 아니라, 건축 그 자체로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죠.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장 누벨(Jean Nouvel) 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아랍의 전통 건축 요소와 현대적인 건축 기술을 융합시켰으며, 특히, "빛과 그림자의 건축" 이라는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물리적 구조뿐만 아니라, 시간과 자연의 요소까지 디자인에 담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1. 돔(Dome)
돔의 기원과 영감

루브르 아부다비의 돔은 단순한 지붕이 아니라, 전통 아랍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무샤라비야(Mashrabiya)' 패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구조물입니다.

무샤라비야는 아랍 전통 건축에서 창문이나 발코니에 설치된 나무 또는 금속으로 된 격자 무늬로, 빛과 바람을 조절하면서도 사생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 누벨은 이 무샤라비야 패턴을 거대한 돔에 적용하여, Rain of Light 라는 독창적인 효과를 만들어낸 것이죠. 돔의 상단에서 들어오는 빛이 겹겹이 쌓인 패턴을 통해 아래로 쏟아지며,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나뭇잎 사이로 떨어지는 햇살처럼 보이는 효과를 연출하고자 하였습니다.
2. 8층의 겹 구조 시스템
돔은 8개의 층으로 구성된 금속 구조물로, 총 7,850개의 별 패턴이 서로 겹쳐지며 빛의 패턴을 연출해 낸다고 합니다. 이 패턴은 무작위로 배치된 것처럼 보이지만, 정교한 알고리즘을 통해 태양의 이동 경로에 따라 빛의 양과 그림자의 패턴이 변형되도록 설계 되었답니다.



3. 재료 및 기술적 요소
3-1. 강철과 알루미늄의 결합

돔의 구조는 강철(steel)과 알루미늄(aluminum) 합금으로 제작되었습니다.이는 부식에 강하고, 거대한 구조적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아부다비의 혹독한 기후 조건, 즉 강한 바람, 모래 폭풍, 그리고 50도에 육박하는 고온을 견디기 위해 선택된 소재이기 때문이죠.
3-2. 자연 환기 시스템

돔의 구조는 단순히 미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자연 환기 시스템"으로의 기능도 한다는 사실! 돔 아래의 공기 순환을 극대화하여, 전통적인 아랍 건축에서 사용되던 Barjeel (바람탑) 의 원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이를 통해 건물 내부 온도를 5~10도 정도 낮추는 효과와 함께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 실현했다고 합니다.
4. 물과 빛의 조화
루브르 아부다비의 또 다른 건축적 특징은 "건축물과 물과의 상호작용" 입니다.



5. 시간의 레이어를 담은 갤러리 디자인

루브르 아부다비의 내부는 단순한 전시 공간이 아니라, 도심 속의 박물관(Museum City) 이라는 컨셉으로 55개의 독립된 구조물로 설계돼 있으며, 이 중 23개가 전시장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전통적인 아랍 메디나(고대 도시)의 좁은 골목과 광장 구조를 연상시키며, 탐험하는 듯한 동선을 제공하여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6. 미래의 건축 유산

지금까지 루브르 아부다비 박물관에 대해 알아 봤는데요, 어떠셨나요? 저는 루브르 아부다비는 단순히 미술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빛과 건축이 만들어내는 예술 작품" 그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장 누벨은 전통 아랍 건축의 본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건축, 문화, 자연이 융합된 새로운 건축 언어를 이 걸작을 통해 창조했습니다. 이는 미래의 건축 유산으로 길이길이 남을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런 걸작들을 통해 UAE는 앞으로 얼마나 많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얼마나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낼까요?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창조경제가 아닐까요?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인 선례를 따라갈 수 있는 선구안과 비전을 갖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건축적 특장점 요약
요소 | 설명 |
돔 디자인 | 무샤라비야 패턴을 적용한 8층 구조, 7,850개의 별 패턴 |
재료 | 강철, 알루미늄, 유리 |
자연 환기 시스템 | 돔 구조를 통한 공기 흐름 최적화 및 온도 조절 |
빛의 연출 | "빛의 비(Rain of Light)" 효과로 시간에 따라 내부 분위기 변화 |
물의 활용 | 건물 사이로 바닷물 흐름, 자연 냉각 효과 |
내부 공간 설계 | "도시 속의 박물관" 컨셉으로 유기적 동선 구성 |
Коментарі